Wall economy라고 하는 담장의 경제를 갖은 나라에 대해서도 책에서 읽었지만..분명히 국민소득 800불에 지니계수 1을 때리고 있으며....GNP=GDP를 기록하고 있는...북한은 정말 세계 경제의 기록에 남을 국가같네요.9:35 PM Sep 16thfrom web
순간 이 숙제를 내 주셨던 김문희 교수님이 생각나기는 합니다만;;; 확실히;;경제기사는 읽으면 읽을 수록 재밌는 것 같습니다. 혹시나 스크랩이 힘들다고 생각하신다면 블로깅을 하라고들 하시는데...제가 실천을 하는 것이네요..^^9:32 PM Sep 16thfrom web
그동안 분명히 생각하고 있었던, 하지만 뭔가 착각을 하고 있었던 것을 이번에 확실히 정리를 하게된 것 같습니다. 또한....이번에 최진기 강사가 이야기하는 것이 경제기사를 스크랩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고 합니다.9:31 PM Sep 16thfrom web
즉, 한국 사회는...소득은 비교적 동일한 지니계수를 보이는데...(0점대 계수가 나온다고 합니다.) 자신의 지니계수가 엄청..차이가 난다고 합니다. 즉, 쌓아놓은 자본의 차이가 지나치게 심하다고 합니다.9:29 PM Sep 16thfrom web
이번주는 그동안 많이 배웠지만 정확하게 적용을 하지 못했던...GDP나 지니계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었습니다. 대부분 배웠던 내용이네? 라고 생각하고 봤지만...가장 놀랐던 것은 우리나라릐 소득/자산 지니계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.9:27 PM Sep 16thfrom web
이번주 내용 : 경제뉴스를 보면 자주 등장하는 GDP.한 국가의 경제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이지만 개념을 이해하기가 쉽지만은 않다. GDP가 많이 올랐다고 해서 잘 사는 나라가 되는 것일까? 지니계수, GNI 등을 모르면 착각에 빠지기 쉽다는데...9:26 PM Sep 16thfrom web
2009.09.19 22:37 신고
개인적으로 지니 지수는 지수일뿐 실생활과 차이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러한 예가 우리나라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.
2009.09.21 13:19 신고
동영상 강의에도 나오지만...우리나라의 특징은...재산의 지니계수는 차별이 심하고 소득의 지니계수는 비교적 평등하다네요...ㅠㅠㅠ